[아시아타임즈=김지호 기자] 청와대가 공매도를 폐지해달라는 국민청원에 "공매도를 계속 금지하는 건 어렵다"며 "철저한 시장 감시로 불법 공매도를 반드시 적발된다는 인식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23일 청와대는 '영원한 공매도 금지'를 요구한 국민청원에 답변을 통해 "정부는 시장에서 지적하는 공매도 제도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청와대는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불법공매도에 대해 과징금 및 형사처벌을 부과하고, 공매도 거래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공매도 목적 대차거래정보를 5년간 보관토록 의무화했다"며 "제도남용 우려가 있는 시장조성자의 공매도 규모는 현재의 절반 이하로 축소하기로 했고, 개인에게도 공매도 기회를 확충해 개인과 기관 간 불공정성 문제도 개선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는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응해 지난해 3월 16일부터 9월 15일까지 6개월간 한시적인 공매도 금지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금지기간을 오는 3월 15일까지 추가 연장했다. 지난 2월3일엔 공매도 금지 조치를 5월 2일까지 재연장하기로 의결했다.
청와대는 "국내 주식시장 상황, 다른 국가의 공매도 재개 상황, 외국인 국내주식 투자 등을 고려할 때 공매도를 계속 금지하기는 어려워 5월3일부턴 부분적으로 재개하기로 했다"며 "시장충격과 우려를 감안해 코스피200 및 코스닥150 구성종목은 5월3일부터 재개할 예정이고, 나머지 종목은 재개·금지의 효과, 시장 상황 등을 감안해 추후 재개 여부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매도 부분 재개 이전 남은 제도 개선을 차질 없이 마무리 하고, 코로나19 발생 이후 증시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했던 것처럼 자본시장의 안정과 성장을 위한 정책적 노력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시즌 왔다"... 515만 골프인 대상, 대대적 할인 공세 나선 유통가
‘포스코·현대제철’, 新 먹거리 후판은 ‘극저온 철강재’
오디오 SNS '클럽하우스', 국내 이용자 20만명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