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업대출 잔액 연중 이례적 감소
기업·은행 기업대출 확대 보수적
미 상호관세에 수출입기업 타격
[아시아타임즈=정종진 기자] 미국발 '관세 폭탄'으로 은행들의 기업대출 성장에도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지난달 5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이 5년여 만에 뒷걸음질친 것을 시작으로 미국의 상호 관세 도입으로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이 12.8%, 전체 수출은 4.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기업의 자금조달 수요는 줄고, 은행들은 수출입기업의 리스크 관리에 돌입해 기업대출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825조2094억원으로 전월대비 2조4936억원 감소했다.
통상적으로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대출을 일시 상환하는 연말을 제외하고 기업대출 잔액이 줄어든 것은 2020년 6월 이후 5년여 만이다.
세부적으로 대기업대출은 162조172억원으로 전월대비 1조6255억원 줄었고, 중소기업대출도 4658억원 감소한 338조7251억원을 나타냈다. 개인사업자 대출 역시 4024억원 감소한 324조4671억원으로 지난해 11월 이후 5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은행권에서는 이례적인 기업대출 잔액 감소에 대해 우선 기업의 투자 위축을 꼽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 국내 설비투자는 전월대비 15.7% 감소했다. 2월엔 플러스 전환(전월대비 18.7%)했지만 전월 설비투자가 크게 감소한데 따른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여기에 은행들은 경기 악화로 인한 건전성 관리를 위해 우량 기업 차주를 선별하고, 취약 중소기업에 대한 문턱을 높이면서 기업대출에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다.
실제 한국은행이 실시한 대출행태 서베이에서 은행들은 올해 1분기 전망에서 기업대출에 대해 강화 기조를 나타냈다. 대기업 대출태도지수는 지난해 4분기 -11에서 올해 1분기 -3으로, 같은 기간 중소기업은 -17에서 -3으로 완화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여전히 지수가 마이너스(-)를 머물렀다.
문제는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로 우리나라 수출입기업의 큰 타격이 예상되면서 기업의 자금조달 수요는 줄고, 은행들은 리스크 관리에 돌입해 기업대출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미 백악관은 2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시장에서는 우려했던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평가하면서 자동차 등 주요 수출 제품의 대미 수출은 물론 베트남 생산기지를 통한 우회 대미 수출 역시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IBK경제연구소는 25% 관세 부과시 대미 수출이 12.8%, 전체 수출이 4.6% 감소할 것이라며 특히 자동차(-18.6%), 일반기계(-39.7%) 등 주력산업 대부분 지난해 말보다 큰 폭으로 대미 수출이 감소하고, 반도체 역시 대미 수출 증가율이 1%대로 둔화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주요 은행들도 이번 관세 부과 조치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산업의 경우 대출 연체율 등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업종별·차주별 리스크 관리에 고삐를 죄고 있는 상황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연체율 관리는 물론 보통자자본비율(CET1) 관리를 위해선 위험가중치가 높은 기업대출을 보수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며 "올해 기업대출 부문은 성장 보단 건전성 관리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에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직접 영향을 받는 수출기업은 물론 협력업체의 경영이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된다며 금융권이 금융시장 안정과 함께 기업 등 실물 부문 자금지원에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하고 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날 융감독원장, 5대 금융지주회장, 정책금융·유관기관장, 금융협회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이럴 때일수록 금융이 본연의 기능을 보다 충실히해 시장 안정을 유지하고 금융중개가 차질없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금융당국도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성 공급 등 필요한 조치가 언제든 취해질 수 있도록 약 100조원 규모 시장안정프로그램의 준비와 집행에 만전을 기하고, 기존에 발표했거나, 현재 추진중인 정책들은 당초 계획과 일정대로 차질없이 추진해 시장 신뢰를 확고히 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데스크 : 유승열 경제부 ysy@asiatime.co.kr
입력 : 2025-04-07 14:11 수정: 2025-04-07 14:11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advertisement
S&P "올해 韓 신용등급 '안정적'… GDP 성장률 1.2% 전망"
대리점 영업비밀 캐려다 공정위 제재 받은 ‘한국타이어’
엔비디아 'AI칩 공급망' 미국으로…삼성·SK 대응책 고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