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뛰는 뉴스 더 깊은 뉴스 더 다른 뉴스 더 함께 뉴스 오피니언 기업과 경제 뉴스 전국 네트워크
2025년 04월 04일 금요일
위로가기 버튼
상단메뉴아이콘
상단검색 아이콘
시몬스, 8일 '왕영은의 톡 투게더' 방송

advertisement

8일 오전 8시 29분부터 1시간 진행

바이브 구매 고객 전원 사은품 증정

최대 36개월 장기 카드 무이자 할부 

[아시아타임즈=김미나 기자] 시몬스가 오는 8일 현대홈쇼핑 '왕영은의 톡 투게더'에서 메가히트 매트리스 컬렉션 모델을 선보인다. 

image
뷰티레스트 바이브 방송 이미지 (사진=시몬스)

시몬스는 이사와 혼수를 준비하는 고객을 위해 8일 오전 8시 20분부터 1시간 동안 '왕영은의 톡 투게더'서 홈쇼핑 방송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앞서 시몬스는 지난해 7월 뷰티레스트 컬렉션 런칭 100주년을 한 해 앞두고 국내 제조·생산 최초 포스코산 경강선에 '바나듐(VANADIUM)' 소재를 적용한 '뷰티레스트 신제품'을 선보인 바 있다. 올해 론칭 100주년을 기념해서는 신세계백화점 대전점 1층에 팝업스토어를 개관하기도 했다. 개장 기간은 오는 16일까지다.

 

바나듐은 강철·합금 강도와 온도 안정성을 증가시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고압과 고온 등 극한의 상황도 견뎌 항공 엔지니어링 기술에 특수 소재로 두루 활용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디자인은 지난 1920년대 뷰티레스트 원단의 디자인을 재해석해 헤리티지를 가미했다. 볼드한 스트라이프의 시그니처 패턴과 빅 플라워, 다이아몬드 등 패턴들의 조합으로 시대를 초월한 우아함을 접목시켰다.

 

시몬스는 이번 방송을 통해 뷰티레스트 바이브를 구매한 고객 전원에게 '구스 레어 듀벳 라이트' 이불과 '매트리스 패드'(최대 89만원 상당)를 증정한다. 뷰티레스트 바이브와 칼릭스2 프레임을 세트로 구매할 경우 '루밀라 침구세트'(최대 137만원 상당)를 추가 제공할 예정이다.

 

여기에 최대 36개월 장기 카드(국민·삼성·현대·롯데·NH) 무이자 할부 혜택과 일시불 결제 시 15만원 즉시 할인이 가능하다. 국민카드로 결제 시 5%(최대 20만 원) 청구 할인되며 현대홈쇼핑 앱을 통해 제품을 구매할 경우에는 10% 추가 적립(최대 10만 포인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다.

 

시몬스 관계자는 "이번 왕영은 톡 투게더에서 소개되는 시몬스 제품은 직영 플래그십 스토어 '시몬스 갤러리'와 위탁 판매점 '시몬스 맨션' 등에서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며 "시몬스 매장 정보와 제품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시몬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김미나 기자 산업2부
다른기사 보기
kmn@asiatime.co.kr [저작권자ⓒ 아시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아시아타임즈는 독자신뢰를 위해 기자데스크를 함께 공개하는 '기사 책임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데스크 : 김정일 산업2부 myth-01@hanmail.net

입력 : 2025-03-07 11:06 수정: 2025-03-07 11:06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advertisement

advertisement

퇴직금 답변 회피 홈플러스, 결국 1100억원 미납

노조, 수차례 공문에도 회사 ‘묵묵부답’ 사측 회생절차 영향 적립률 83% 수준 내년 2월까지 미납분 3분의 1 적립 약속 [아시아타임즈=이하영 기자] 홈플러스 노조가 우려한 퇴직금 미납이 사실로 드러났다. 홈플러스 측은 현재 미납금은 1100억원가량으로 회생계획에 반영해 우선 적립할 예정이라고 확인했다. 앞서 홈플러스 노조는 수차례 공문을 보내 ‘퇴직연금 적립 금융기간 및 금액확인’을 요청한 바 있다. 사측은 구두로는 퇴직금을 적립한다고 했지만 실제 노조의 공식적인 요청에는 응답하지 않은 바 있다. 4일 홈플러스는 “회생절차 개시에 따른 단기 유동성 제약으로 2025년 적립 예정이던 퇴직연금 사외 적립금을 미납한 상태”라며 “2026년 2월까지 미납 적립금의 3분의 1을 먼저 납입하고, 나머지는 회생계획에 반영하여 우선적으로 차질 없이 적립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홈플러스 따르면 퇴직연금 적립금을 15개 금융기관에 분산 운용 중이다. 사측은 2024년 적립 분까지 100% 전액 납입해왔다고 밝다. 그러나 지난 3월 초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간 이후 단기 유동성에 제약이 생기며 문제가 발생했다. 영업활동 지속을 위해 상거래채권을 우선적으로 지급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025년 납부해야 하는 적립금 540억원과 작년 12월 대법원의 통상임금 기준 변경 판결로 인해 발생한 추가 적립금 560억원 등 총 1100억원을 미납한 상태다. 사측이 밝힌 현재 적립률은 83% 수준이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사외 적립금 적립률이 83% 수준이면 퇴직금 지급에 전혀 문제가 없다”면서도 “회사가 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직원들이 불안해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미납된 적립금도 모두 차질 없이 적립해 직원들의 불안을 해소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미납 적립금은 회생계획에 따라 마련될 예정이다. 홈플러스는 2026년 2월까지 미납 적립금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367억원을 먼저 납부한다. 이후 잔여 미납금과 통상임금 판결에 따른 2025년 추가 불입 분도 회생계획안에 반영해 우선적으로 납부할 계획이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직원의 급여와 퇴직금은 최우선 변제 대상인 만큼 아무런 문제 없이 전액 지급 될 것”이라며 “회사 사정으로 인해 퇴직연금 관련하여 직원들에게 불필요한 걱정을 끼쳐드려 죄송스럽다”라고 말했다. 한편 전날(3일) 검찰은 4개 증권사(신영·하나·현대차·유진투자증권)의 고소에 따라 홈플러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의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혐의 사건 수사에 착수했다.

[탄핵심판 D] 文 “尹 파면, 정의의 이름으로 민주공화정 지켜”

[아시아타임즈=우승준 기자] 문재인 전 대통령은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대통령직 파면을 선고한 데 대해 “헌법과 정의의 이름으로 민주공화정을 지켜냈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에 “놀라운 민주주의 회복력을 다시 한번 세계에 보여주었다”며 “모두 국민 덕분”이라고 이같이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나라 걱정으로 밤잠 이루지 못하며 노심초사했던 국민들께 위로와 감사를 드린다”고도 했다. 문 전 대통령은 또 “하루속히 계엄사태가 남긴 상처와 후유증을 치유하고 통합과 안정으로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평화적으로 되찾은 민주주의를 더욱 튼튼히 하며 보다 성숙한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도 했다. 문 전 대통령과 윤 전 대통령의 과거 인연도 재조명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문재인 정부 당시 검찰총장을 지낸 인물이다. 문 전 대통령은 취임 첫 해인 2017년 윤 전 대통령을 서울중앙지검장으로 발탁해 적폐청산 수사 지휘를 맡겼다. 이후 2019년엔 윤 전 대통령을 검찰총장에 임명했다. 단 두 전 대통령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 수사 및 중대범죄수사청 설치 등을 놓고 마찰을 빚었다. 이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은 검찰총장 임기 만료를 4개월 앞둔 2021년 3월 “정의와 상식이 무너지는 것을 더 두고 볼 수 없다”며 사퇴했다. 문 전 대통령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윤 전 대통령을 검찰총장직으로 발탁한 데 대해 “두고두고 후회했다”고 밝혔다.

[탄핵심판 D] 尹 “기대 부응하지 못해 안타깝고 죄송”

[아시아타임즈=우승준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은 4일 “그동안 대한민국을 위해 일할 수 있어서 큰 영광이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많이 부족한 저를 지지해 주시고 응원해 주신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하다”며 “사랑하는 대한민국과 국민 여러분을 위해 늘 기도하겠다”고도 했다. 이와 관련 헌법재판소는 윤 전 대통령의 탄핵 소추 선고와 관련해 ‘파면’을 결정했다. 파면 효력은 재판관들이 주문을 읽는 즉시 발생한다. 따라서 윤 전 대통령은 오전 11시22분을 기점으로 대통령직을 상실하게 됐다. 윤 전 대통령의 대통령직 파면은 작년 12월3일 그가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122일만의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