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에이스, 영업익 662억원·영업이익률 20.3%
시몬스, 매출액 3295억원…2년 연속 1위
"마케팅 차별화, 소비자 타깃층 영향줘"
[아시아타임즈=김미나 기자] 국내 침대업계 양대 기업이 각각 '내실'과 '프리미엄 시장 독주' 전략으로 실적 대조를 이루며 치열한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실적에서는 수익성은 에이스침대가 외형과 성장률은 시몬스가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침대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내수 불황에도 불구하고 에이스침대와 시몬스 모두 실적 개선을 이뤘다. 에이스침대는 영업이익률이 크게 올라 수익성과 내실을 다졌으며 시몬스는 2년 연속 매출액이 에이스침대를 앞지르며 몸집을 키웠다.
우선 에이스침대는 3년 만에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3260억원으로 전년 3064억원 대비 6.4% 상승했다. 에이스침대는 지난 2021년 매출 3464억원을 기록한 뒤 2년 연속 매출 감소를 겪었으나 올해 반등에 성공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570억원에서 662억원으로 16% 상승했으며 영업이익률은 20.3%로 내실 경쟁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에이스침대의 이번 실적 반등은 직접 체험을 중시하는 브랜드 철학에 맞춰 체험형 매장인 '에이스스퀘어' 확장,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지난해 슬리포노믹스(숙면+이코노믹스) 트렌드에 맞춘 고가 제품군 매출 비중도 4.2%로 확대되며 수익성 개선을 견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에이스침대 관계자는 "지난해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고객들의 변함없는 신뢰로 실적 반등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불황 속에서도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품 가격을 동결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가격 인상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시몬스도 지난해 매출 3295억원, 영업이익 52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3137억원, 318억원 대비 각각 5%, 65% 성장했다. 영업이익률은 16%로 전년 대비 6%p 증가했으나 절대적인 이익률 수치에서는 에이스침대에 미치지 못했다. 다만 시몬스는 5성급 특급호텔 점유율 90%, 300만원 이상 초프리미엄 시장에서의 독주로 외형 경쟁에서 강세를 보였다.
안정호 시몬스 대표는 "시몬스의 진심을 소비자가 알아준 것 같다"며 "올 한 해는 불안정한 국제정세와 인플레이션 등으로 유독 더 힘든 한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제품 가격동결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양사는 ESG 경영과 마케팅 전략에서도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시몬스는 업계 최초로 '난연 매트리스 제조 공법' 특허를 전면 공개해 ESG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난연 매트리스는 화재 발생 시 대피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으로 해외 선진국에서는 법제화된 기술이다. 또한 '뷰티레스트 1925' 프로젝트를 통해 매트리스 판매 시 수익의 5%를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센터에 기부하는 ESG 활동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소비자 신뢰를 확보했다는 평가다.
반면 에이스침대는 친환경 생산공정 개선과 체험형 매장 중심의 환경 캠페인으로 소비자 접점에서 ESG를 실천하는 중이다. 에이스침대는 전국 54곳의 '에이스스퀘어' 체험형 매장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한 친환경 캠페인을 병행 중이다. 지난해에는 10곳의 매장을 신규·리뉴얼 오픈했으며 올해는 2개점을 추가로 선보일 계획이다.
마케팅 전략도 선명히 갈렸다. 시몬스는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 강화에 집중하며 고가 매트리스와 호텔 협업으로 하이엔드 시장을 공략했다. 에이스침대는 보다 대중적인 접근법을 택하고 있다. '침대는 왜 과학일까' 캠페인과 과학 인플루언서 '궤도'와 협업하는 등 MZ세대와의 접점을 넓히고 있다.
업계에서는 양사의 경쟁 구도가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 가구업계 관계자는 "국내 가구시장과 침대 시장은 1인 가구 증가와 프리미엄 소비 트렌드 확산으로 고급화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며 "침대업계는 내실과 외형을 동시에 강화하는 복합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시몬스는 하이엔드 소비층을 겨냥한 럭셔리 포지셔닝을 에이스는 대중성과 체험 중심의 전략을 펼치고 있다"며 "양사의 마케팅 차별화가 소비자 타깃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데스크 : 김정일 산업2부 myth-01@hanmail.net
입력 : 2025-03-26 05:00 수정: 2025-03-26 08:38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advertisement
한 권한대행, 연금법개정안 공포 "재정 구축 위한 구조개혁 박차"
한덕수 권한대행, '상법개정안'에 거부권 행사..."기본 취지 반대는 아냐"
[여의도Q] 바보야, 상법 개정은 기업을 위한 거야
많이 본 뉴스